하버드 구조와 폰 노이만 구조의 한계
728x90
반응형

하버드 구조와 폰 노이만 구조의 한계는 각각 무엇이며

지금은 어떻게 구성된 모습으로 사용되고 있을까?


전자 실험에도 자주 쓰이는 ATMEGA128과 같은 모듈은 하버드 구조를 가진다.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가 분리되어 있어 CPU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스를 따로 사용하게 된다. CPU가 동시에 2개 이상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처리가 빠르다. 이는 요즘 각광받는 병렬식 컴퓨터에 잘 쓰인다. 근래 나오는 인테 CPU를 보면 캐시메모리가 명령어용과 데이터용을 분리한 것을 알수 있다.


폰 노이만 구조는 위에서 언급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하나의 통로, 즉 하나의 버스를 통해 받게 된다. 처리속도는 비교적 느리지만 설계가 간단하기 때문에 범용 컴퓨터 구조라고 한다. 폰 노이만이 만든 에드박(EDVAC)이라는 컴퓨터도 이 구조로 만들어 졌고 이후 에드박을 기초로 한 컴퓨터가 굉장히 발전하여 지금의 PC형태가 되었다.

728x90
반응형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는 왜 0과 1로 신호를 전달할까?  (0) 2016.09.04
공인인증서가 생긴 배경과 그 위험성  (0) 2016.09.04
HTTP와 HTTPS  (0) 2016.09.04
ActiveX와 기술적 부채  (0) 2016.09.04
왜 RAM이라고 부르게 되었을까?  (0) 2016.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