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익숙해져간다.프래그먼트에 대해 겁이 없어진다.공부하면서 이정도 얻은 것만도 큰 감동이다.어떻게 만들것인지 레이아웃이 머릿속에 그려지면프래그먼트 구성은 이제 쉽게 할 수 있다.이번에는 item.java를 만들어서 get/set을 만들어 볼 예정이다.프래그먼트를 만든다.main.xml에 만든 프래그먼트를 구성한다.fragment.xml에 추가 구성을 한다.item.java에 get/set을 만든다.BaseAdapter를 상속받는 adapter.java를 만든다. getView가 가장 중요하다context를 선언하고 inflate해서 convertView 참조 획득convertView로 위젯 참조 획득dataSet인 listViewItemList로부터 data 추출데이터 반영addItem : 아이템 데이..
가장 하고 싶었던 것이 바로 이것. 프래그먼트에 list를 적용시키는 것.adapter 개념과 fragment 개념이 약해서차근차근 진행해보더니 어느새 여기까지. (장하다!!!)먼저 xml에 프래그먼트를 추가하자. 아!! 레이아웃은 RelativeLayoutname 작성 주의할 것.아니면 자라리 디자인탭에서 프래그먼트 추가그럴려면 먼저 프래그먼트 파일 추가해야겠네.프래그먼트 추가public class MenuListFragment extends ListFragment다시 프래그먼트 추가렌더링 문제가 나타남원인 : tools:layout (http://chuumong.tistory.com/entry/Android-Xml-Tools-Attributes)리스트뷰 만들기 전에 할 것샘플 데이터 만들기 : lis..
Inflater에 대한 자료는 찾기가 힘들다.그래서 나름 이해하기 쉬운 자료나 사례를 모아보았다.개념으로는 여기가 제일 좋다. http://aroundck.tistory.com/39가장 흔하게 쓰는 inflater에 대해 간략하게만 적혀있다. http://recipes4dev.tistory.com/42 http://unikys.tistory.com/318
솔직히 리스트뷰 이후부터 공부할 때 멘붕이 있었지만 프래그먼트에서는 거의 눈만 뜨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다. 어렵다라는 생각조차도 없다. 아무런 생각을 할 수 없었다. 이대로는 안된다. 공부를 시작하자. 1. 프래그먼트 / Fragment 단일 Activity로 제한이 많았기에 API 레벨 11, 허니컴부터 등장한 Fragment. 액티비티처럼 생명주기도 가진다. (참고 : http://androidhuman.com/470) 모듈식 섹션, 액티비티의 하위개념으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2. 간단한 실습 좋은 실습용 소스를 블로그에서 찾았다. (http://recipes4dev.tistory.com/58) 위 블로그에서는 워크플로우가 있어서 매우 편했다. 개인 학습 겸 간단하게 워크플로우를 적어본다.ma..
터미널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open -e ~/.bash_profile새로운 에디터창이 열린다.이때 path를 수정하면 된다.PATH="(생략)${PATH}":(Android/sdk/platform-tools 경로를 입력)위와 같이 수정후 두가지 저장 방법이 있다.해당하는 것으로 저장을 하면 된다.1. 저장 단축키 사용 ( ctrl + S )2. esc를 누르고 :wq를 입력하면 저장하고 에디터가 종료된다.source ~/.bash_profile 입력하여 활성화하고터미널을 종료한 후 다시 실행한다.마지막으로 adb version을 입력해서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한다.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