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더라] 1부, 문화
Study 2022. 5. 29. 22:26

한빛미디어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만 진심이 담겨있습니다. 허위 사실 유포는 😎일절 없음.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이 내 주변에서 조금 핫하다. 이 책을 모르는 개발자가 드물었다. 아마 제목이 큰 역할을 한게 아닐까 싶기는 하다. 어그로는 아니지만 "구글 엔지니어"라는 단어가 딱 들어가니깐 이직이나 성장에 목마른 사람들에게 자극적이었을 것이다. 나 역시도 그러했기에 이 책을 이번주까지 다 읽으려고 했었다. 맥락으로 느꼈을 것이다. 나 역시도 타이슨에게 한대 맞았다. 계획대로 되지 않았다. 본 글에서 변명이 중요한건 아니지만 그럼에도 변명 하나를 꺼내보자면... 이번 책은 꼭꼭 씹어 먹었다. 다른 포스팅에 "함께 자라기"라는 서적을 언급하면서 내 취향이 아니라고 한 적..

유데미(Udemy)로 Git 공부한 썰
Study 2022. 5. 10. 23:26

스타트 위드 유데미 챌린저 이벤트를 통해 강의를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만 진심이 담겨있습니다. 허위 사실 유포는 😎일절 없음. 착각은 자유 개발자들은 Git을 공부할 때 어떻게 시작했을까? 나만 그런건지 몰라도 옆에 있는 개발자가 기본만 가르쳐주고 나머지는 직접 이것저것 건드려보면서 익혔었다. 마치 처음보는 디바이스를 쥐었을 때 사용설명서도 읽지 않고 아무것이나 눌러보는 것처럼. 한번도 Git을 각잡고 공부해본 적이 없지만 그럼에도 일하는데 큰 불편함은 없었다. 중간중간에 커밋 로그가 지저분해지고 가끔은 다른 브랜치와 꼬여서 곤란한 경우는 있었지만 대체로는 잘 사용했다. 아니. 잘 사용하고 있는 건줄 알았다. 제대로 공부를 해보기 전까지는 말이다. Git 강의를 선택한 이유 만만하게 생각했던 G..

Spring에서 데이터소스 2개를 동시에 사용해 보았다
Database 2022. 5. 9. 18:14

참고사항 : 본 실습환경은 스프링(Spring boot) + 코틀린(Kotlin) + MySQL + JPA이다. "배달의 만족"이라는 회사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만족이다. 민족아니다.) 이 회사는 음식 배달을 서비스하는 회사이기에 여러 식당과 계약을 맺은 상태이다. 그래서 식당 DB가 있을 것이고 배달하는 분들의 데이터가 들어간 라이더 DB가 있을 것이다. 서로 다른 2개의 스키마를 하나의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일이 생길 수 밖에 없다. 그럴 때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모델과 환경변수를 세팅하자 당연히 모델은 2개로 분리가 될 것이다. 아래 2개의 Entity 모델이 바라볼 DB를 앞으로 세팅하게 될 것이다. Restaurant.kt Rider.kt 그리고 환경변수(yml 파일)는 아래와 같다. 이때 각..

MySQL Workbench에서 DB 특정 계정의 필요한 권한 획득하기
Database 2022. 5. 3. 14:11

아래처럼 Selected schema를 선택하고 원하는 스키마를 선택한 다음 (여기에서는 fs_invoicing) OK 버튼을 누른다.필요한 테이블에 필드를 추가하려고 할 때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를 확인했다. Error Code: 1142. ALTER command denied to user 'dev'@'***.***.***.***' for table 'customer' customer 테이블은 (root 계정이 아닌) 지금의 계정에서 (수정을 포함하여) 접근조차도 못하는 테이블이었다. 그래서 해당 스키마에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해야 했다. Commnad LIne으로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지만 더 간단하고 확실하게 Tool에서도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그 방법을 아래와 같이 소개한..

마치 퍼즐이 완성되어가는 기분이 든다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Study 2022. 4. 24. 23:41

한빛미디어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만 진심이 담겨있습니다. 허위 사실 유포는 😎일절 없음. 개발자들은 정말 많은 DD들을 봐왔을 것이다. TDD (Test-Driven-Development), BDD (Behavior-Driven-Development), DDD (Domain-Driven-Development) 등등. 그 중 이번에 다룰 책은 DDD을 소개하는 서적이다. 그리고 왜 이런 책이 이제 나왔나 싶다. 리뷰어 활동으로 적고 있는 글이지만 많은 분들에게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를 추천하고 싶다. 이유는 뒤에 소개하기로 하고 어떤 분에게 추천하는지 아래에 서술해보자면... 어줍잔게 백엔드 개발을 시작했는데 아직도 주먹구구식으로 업무를 하는 개발자 경험이 적어서 기존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