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느 개발자의 두서없는 2021년 회고
Life 2022. 1. 11. 01:35

0. 이번라고 예외는 없다. 시작은 곧 0 왜냐. 🧑‍💻난 개발자니깐. 회고의 시작은 작년 회고를 살펴보는 것부터. 어느 안드로이드 개발자의 두서없는 2020년 회고 0. 자고로 개발자라면 "0"부터 시작하자 작년에도 그랬지만 올해도 어떻게 시작을 열어야 할지 몰라서 이 드립을 그대로 가지고 온다. 어느 안드로이드 개발자의 두서없는 2019년 회고 0. 자고로 devvkkid.tistory.com 2021년에는 분기별 회고를 했었고 나름 이루어낸 것도 얘기해야 될 에피소드도 많아서 분량이 많다. 아래와 같은 순서로 회고를 풀어볼까 한다. 1. 과연 2021년에 바랬던 것을 얼마나 달성했을까? 2. 새로운 환경, 새로운 일 3. 어떻게 학습을 했을까 4. Bye 성수, Hi 양재 5. 달리고 다치고 아무는..

Kotlin에서 RestTemplateClient를 만들어보자
Spring 2021. 12. 23. 19:37

시작하기 앞서 난 코틀린도 RestTemplate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물론 사용은 하고 있었으나 제대로 알고 사용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었다. 그래서 기본적인 내용부터 포스팅에 담을 것이다. 누군가에게는 매우 기본적인 내용이 될 수 있으니 필요에 따라 내용을 필터링하여 읽으시길 권한다. ✅ 필요한 사전 지식 - 코틀린 기초 지식 - Spring framework 다음의 3단계로 개발을 진행한다. 1. RestTemplateClient : RestTemplate을 가지고 있는 추상 클래스 2. RestTemplateConfig : RestTemplate을 주입하는 설정파일 3. 실제 API를 호출하는 Service 혹은 Client 개발 RestTemplateClient API를 호출하는 곳에서 쉽게..

미해결사건. @Valid가 작동하지 않는다??
Spring 2021. 12. 15. 11:37

서두 본 글은 코틀린 + 스프링부트 환경에서 @Valid가 동작하지 않는 케이스를 다루었고 해당 이슈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음. 해결을 하기는 했는데 해결이 된 이유를 알 수 없음. 완벽한 해결책을 찾고자 했다면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기 바람 설명에 앞서 개발환경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혹시나 나와 비슷한 상황을 겪고 이를 해결한 분이 계시다면 댓글로 안내를 부탁드...립니다. (제발) 아래는 gradle 스크립트 중 일부이다. plugins { id("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5.0" id("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kotlin("jvm") version "1.5.10" ko..

Kotlin + JPA에서 FetchType.LAZY가 제대로 작동 안된다면?
Dev Memo 2021. 12. 2. 18:50

⚠️ 경고 ⚠️ 본 카테고리, Dev Memo는 필자가 깊게 다루기는 귀찮지만 궁금한 것들을 체험해보고 간단하게 기록을 남기는 공간입니다. 디버깅 노트, 써드파티 라이브러리 사용기, 버전 업데이트, 어이없는 실수, 오탈자 발견 등. 각종 시덥지 않은 내용이 들어 갈 수 있다는 점 참고바랍니다. (우헤헿) 연관관계로 엮여있는 엔티티를 조회했을 때, 분명히 FetchType.LAZY를 적용했음에도 연관관계의 모든 엔티티가 조회되는 상황을 볼 수 있다. 그럼 혹시 아래 경우인지 확인해보자. 코프링 (코틀린 + 스프링) JPA를 사용한다 연관관계에 지연로딩을 적용한다. (FetchType.LAZY) // 예) @Entity class Product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

스프링에서 local.yml 또는 dev.yml 환경으로 전환하고 싶을 때
Dev Memo 2021. 11. 29. 18:15

⚠️ 경고 ⚠️ 본 카테고리, Dev Memo는 필자가 깊게 다루기는 귀찮지만 궁금한 것들을 체험해보고 간단하게 기록을 남기는 공간입니다. 디버깅 노트, 써드파티 라이브러리 사용기, 버전 업데이트, 어이없는 실수, 오탈자 발견 등. 각종 시덥지 않은 내용이 들어 갈 수 있다는 점 참고바랍니다. (우헤헿) 스프링에서 여러 개발환경을 세팅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처럼 기본 yml 파일이 있고 여건에 따라 다른 환경으로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resources ㄴ application.yml ㄴ application-dev.yml ㄴ application-local.yml 기본적으로는 application.yml 상 환경으로 진행될텐데, dev나 local은 어떻게 하면 바라볼 수 있을까? 간단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