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auth 세팅 중 yml과 properties가 이해되지 않을 때, 스프링 시큐리티와 프로바이더
Spring 2021. 9. 28. 15:57

요즘 Oauth를 활용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개발을 하는 중이다. 쉽게 얘기하면 우리가 쉽게 접하는 구글, 페이스북 등의 서비스를 통해 다른 플랫폼에서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하는 기능이다. 요즘 흔히 보이는 SNS 로그인이 바로 이것이다. 그런데 이 부분을 학습하면서 헷갈리는 부분이 매우 많다. 토큰 개념부터 리다이렉트 이슈까지. 나를 헷갈리게 한 것 중 하나를 여기서 다뤄보겠다. 바로 Provider이다. 혹시 Oauth에 대해 개념 정리가 잘 안되는 분들에게는 위 링크와 별도로 아래 링크도 참고하길 바란다. OAuth2 서비스 인증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온라인 서비스에 안전하게 액세스하려면 사용자는 신원을 증명하여 서비스에 인증해야 합니다. 타사 서비스에 액세..

AWS 구성 설정(aws configure)을 하지 않았을 때 나타나는 상황
Dev Memo 2021. 8. 29. 22:51

인프라 지식이 거의 없는 나에게 AWS 이슈는 재앙과 같다. 이번에는 직장 동료와 함께 5시간 가까이 이 문제만 갖고 머리를 싸매고 있었다. 그 경험을 공유해본다. 사내 프로젝트 Git에서 dev 브랜치의 소스를 개인 브랜치에 merge를 하고 난 뒤 생긴 이슈였다. 먼저 확인된 에러 로그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보안적인 이유로 일부 내용을 수정하였다.)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 defined in file [/Users/★★★★★.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1;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

[Spring] HTTP Request 전송 시, Broken pipe 이슈
Dev Memo 2021. 8. 15. 23:43

⚠️ 경고 ⚠️ 본 카테고리, Dev Memo는 필자가 깊게 다루기는 귀찮지만 궁금한 것들을 체험해보고 간단하게 기록을 남기는 공간입니다. 디버깅 노트, 써드파티 라이브러리 사용기, 버전 업데이트, 어이없는 실수, 오탈자 발견 등. 각종 시덥지 않은 내용이 들어 갈 수 있다는 점 참고바랍니다. (우헤헿) 요즘 스프링 공부 + 실무 경험이 한창이다. X인지 된장인지 모르고 막 하고 있다. 그러다가 이런 경우를 만났다. 서버에 엑셀 업로드를 한다고 했을 때 업로드 요청 후 블락을 하지 않으면 응답이 오기 전에 재요청을 하는 경우. 엑셀 파일을 선택해놓고 여러번 업로드 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그렇다. 이런 경우 아래와 같은 Exception을 볼 수 있다. org.apache.catalina.connector...

어떤 개발자의 (늦은) 2분기 보고서
Life 2021. 7. 18. 14:41

회고 ver 0.5 : 2021.07.18 (비공개) 회고 ver 1.0 : 2021.07.27 이번에도 2분기 회고로서 좀 늦은 감이 있지만 안하는 것보다는 하는게 나으니깐 회고를 해보려고 한다. 이번 회고는 2분기 보고서이자 상반기도 돌아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1분기 보고서에도 언급한 내용을 다시 말하자면, 자고로 2분기라함은 4월부터 6월까지이다. (혹시 모를까봐) 또한 본 회고는 캘린더앱, 인스타그램 피드 및 스토리, 페이스북 피드, Toss 소비 분석, 불안한 기억력(?)을 기반으로 작성한다. 1분기 보고서가 궁금한 사람은 아래 링크를 참고할 것. 어떤 개발자의 (늦은) 1분기 보고서 복습 주기가 짧을수록 기억에 오래남는다는 얘기를 어디서 들어본적이 있다. 그래서 '올해는 분기별 회고를 해야지..

Postman에서 Mock Server과 API 만들고 테스트하기 (하)
Spring 2021. 6. 23. 18:59

Postman에서 Mock Server과 API 만들고 테스트하기 (상) 서버 개발자라면 보통 제공하는 입장에서 개발을 할 것이다. 하지만 때로는 제공받는 경우를 고려해서 개발을 해야할 때도 있다. 그런데 만약 스펙만 존재하고 실제 동작하지 않는 API를 염두하 devvkkid.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는 포스트맨으로 가상 API를 만들어 두었다. 이제 이 API를 스프링에서 다뤄보도록 하겠다. (어우 신난다.) 여기서 필요한 dependencies는 다루지 않는다. 해당 정보가 필요한 분들은 아래 필자의 github 링크를 참고하길 바란다. 또한 앞으로 진행할 실습코드의 전체 구조도 이 링크에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Postman에서 Mock Server과 API 만들고 테스트하기 · co..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