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끔 정렬을 함에 있어서 어느 시점에서 정렬을 할지 고민하게 된다. 누구나 고민을 하지만 아무나 답변을 얻는 건 아니다. 이럴 때 우리 갓택오버플로께서 길을 보여주신다. 꽤 인상적인 글이긴 하지만 모두가 알다싶이 이 글으느 영어다. 그래서 내가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해당 글을 번역해보고자 한다. 물론 마이 프렌즈, 번역기와 함께. (일부 번역은 직역이 아닌 문맥에 맞게 내용을 수정 하였습니다. 그래도 어색한 부분은 언제든 지적해주시길.) 원문 : database sort vs. programmatic java sort 🙋 질문 (2009.12.10) JPA를 통해 MySQL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려고 한다. 이 때 일부 필드값을 기준으로 정렬을 하고자 한다. 아래 두가지 중 어떤 경우가 가장 ..

구글 Oauth 서비스를 사용하고 싶어서 자료를 찾아보던 와중에 큰 혼란을 겪게 되었다. 관련된 서비스가 너무 많은 것이다. 도저히 나에게 맞는 서비스를 찾는게 쉽지 않아서 정리를 한번 해보자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 생각을 한지 1달도 더 지나서 이제야 정리를 해본다. 먼저 크게 2개의 서비스로 분리해서 설명해보자. Google Identity와 Google People API. Google Identity는 인증과 인가, Google People API는 유저정보 취득을 목적으로 둔다. 보통은 아이덴티티쪽을 보게 될 것이다. 그러니 먼저 아이덴티티쪽을 먼저 살펴보자.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상단의 Overview. Enable users to sign into apps and authorize app..

회고 ver 0.9 : 2021.11.04 무려 1달도 더 지난 시점에서 3분기 회고를 한다. 2분기 회고 당시에도 언급했지만 회고란 빠를수록 좋다. 그렇다고 늦은 시기에 회고를 하지 말라는 건 아니다. 안하는 것보다 늦게라도 하는 것을 권한다. 너무 늦었기에 간단하게 정리만 하고 넘어갈까 싶다 어떤 개발자의 (늦은) 2분기 보고서 회고 ver 0.5 : 2021.07.18 (비공개) 회고 ver 1.0 : 2021.07.27 이번에도 2분기 회고로서 좀 늦은 감이 있지만 안하는 것보다는 하는게 나으니깐 회고를 해보려고 한다. 이번 회고는 2분기 보고서이자 상반 devvkkid.tistory.com 🗓 Main Event 이사 (8월 14일) from 성수 to 양재 5개가 넘는 공인중개사, 20개가 넘..

⚠️ 경고 ⚠️ 본 카테고리, Dev Memo는 필자가 깊게 다루기는 귀찮지만 궁금한 것들을 체험해보고 간단하게 기록을 남기는 공간입니다. 디버깅 노트, 써드파티 라이브러리 사용기, 버전 업데이트, 어이없는 실수, 오탈자 발견 등. 각종 시덥지 않은 내용이 들어 갈 수 있다는 점 참고바랍니다. (우헤헿) 필자는 Ant design은 커녕 typescript도 모른다. 갑자기 이쪽을 공부할 일이 생겨서 급하게 환경세팅을 하다가 만난 이슈를 공유하고자 한다. Ant design으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필자가 pull 받아서 개발하려는 과정에 나타난 이슈이다. $ npm list typescript npm WARN read-shrinkwrap This version of npm is compatible..

많은 곳에서 API 게이트웨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용어의 뜻을 찾아보면 난해한 설명만 나와 있다. 그래서 나름대로 설명을 좀 쉽게 풀어보았다. 게이트웨이는 무엇인가. 위키피디아에서는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라고 나와 있다. 매우 적절한 설명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이걸 바탕으로 API 게이트웨이를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이를 NHN 토스트 블로그에서 설명을 잘 하고 있다. 해당 설명을 좀 더 쉽게 풀어보면... 사용자(백엔드 개발자 혹은 인프라 담당자)가 설정한 라우팅 설정에 따르며, 여러개의 서비스에 향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을 받아서 각 엔드포인트(실제 API)로 (클라이언트를 대리하여) 요청하고 응답을 받으면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프록시 역..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