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avaScript는 모르지만 WebView에서 사용하고 싶어!!
Android, iOS 2019. 11. 28. 15:05

마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안약에, 만약에 웹뷰의 특정 이벤트를 네이티브에서 받아서 메시지를 보여주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JavaScript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을 써보고자 했다. 동작이 되는 웹서비스를 만들 수 없으니 로컬에 HTML 파일을 두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샘플앱을 만들었다. (착하지?) 내 Github에서 모든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정말 착하지?) var handler = Handler() inner class AndroidBridge { @JavascriptInterface fun sendData(msg: String) { handler.post(Runnable { var message = msg if (message.isEmpty()) { message = "입력..

ViewPager 안에 수평 스와이핑 View가 또 있다면?
Android, iOS 2019. 11. 25. 19:58

수직 스크롤 안에 수직 스크롤 되는 뷰가 또 있다면 꽤 피곤하다. 보통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nestedscrollview이다. 이런건 수직 스크롤에서 발생하는 이슈. 그렇다면 수평인 경우에도 이렇게 골치 아픈 일이 있지 않을까? 문제는 다음과 같다. MainActivity 내부에 ViewPager가 있다. ViewPager의 스와이프 기능은 오버라이드된 canScroll()에서 막았다. ViewPager에는 여러개의 Fragment가 동적으로 붙는다. Fragment 중 일부는 WebContainer로 구성되어 있고 이 WebContainer는 WebView를 갖는다. WebView에는 수평 스크롤 View를 가질 수 있다. Fragment 중 일부는 완전한 네이티브로 구성되어 있고 수평형 Recyc..

넥스터즈(NEXTERS)를 아냐구요?
Life 2019. 11. 21. 00:45

일단 뽕(?)을 좀 넣어봤다. 최고인지는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 판단할 것이고.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연합동아리인 넥스터즈(NEXTERS)가 16기 회원을 모집중이다. 넥스터즈는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함께 2개월간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경험치를 쌓을 수 있는 동아리이다. 2번의 기수를 거쳐서 수료를 한 회원으로서 넥스터즈 활동을 되돌아보고 나의 경험을 공유해보고자 여기에 기록을 남겨본다. 대학생도, 사회초년생에게도 열려있는 기회 서류지원부터 면접, 합격까지의 과정은 별도의 포스팅으로 기록할 예정이다. 여기에 쓰고 싶은 것은 합격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쉬는 주차를 포함하여 9주간의 활동이 계획되어 있다. 활동을 여는 첫주는 OT. 이 때 만난 사람들은 개발자 혹은 디자이너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양한 사람들이..

targetSdkVersion 28로 올렸을 때 만날 수 있는 문제점
Android, iOS 2019. 11. 13. 19:53

11월의 어느날, Play store에 릴리즈를 하려고 APK를 Console에서 업로드를 했는데... "자세히 알아보기"를 클릭해보면 "Google Play의 대상 API 레벨 요구사항 충족하기"라는 구글 문서가 나온다. 앱 업데이트는 2019년 11월 1일부터 Android 9.0(API 레벨 28) 이상을 타겟팅하도록 요구하기에 이 시점부터는 해당 레벨 미만의 앱은 업데이트가 안된다는 뜻이다. (왓더) 그래서 SDK를 업데이트를 했다. minSdkVersion = 16 targetSdkVersion = 28 // Update : 26 to 28 compileSdkVersion = 28 buildToolsVersion = '28.0.3' 이제 빌드를 해야지 했는데... 설치가 안되는 경우 설치가 되었..

Android에서 Reactive 맛보기
Android, iOS 2019. 11. 5. 17:43

안드로이드 코딩만 하는 나에게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두루뭉실한 개념이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만 코딩이라고 생각하고 작업을 해왔으니... 알고리즘만 있는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목표가 없기 때문에 "지향"이라는 단어를 쓰는게 아닐까 싶다. 하지만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선언형이라고 부르며 무엇(What)을 하겠다는 선언할 대상인 목표가 생긴다. 이를 잘 정리한 블로그를 통해 추가 학습을 하길 바란다. 리액티브라고 부르는 이 프로그래밍은 Rx(Reactive extension) 혹은 FRP(Functional reactive programming)에서 파생된 말이다. 비동기적, 반응형, 고차함수 등의 특징을 가지는 프로그래밍이기에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설명하였다. 보시다싶이 FRP에는 함수(Function)도 들어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