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버드 구조와 폰 노이만 구조의 한계
Study 2016. 9. 4. 23:17

하버드 구조와 폰 노이만 구조의 한계는 각각 무엇이며지금은 어떻게 구성된 모습으로 사용되고 있을까? 전자 실험에도 자주 쓰이는 ATMEGA128과 같은 모듈은 하버드 구조를 가진다.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가 분리되어 있어 CPU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스를 따로 사용하게 된다. CPU가 동시에 2개 이상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처리가 빠르다. 이는 요즘 각광받는 병렬식 컴퓨터에 잘 쓰인다. 근래 나오는 인테 CPU를 보면 캐시메모리가 명령어용과 데이터용을 분리한 것을 알수 있다. 폰 노이만 구조는 위에서 언급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하나의 통로, 즉 하나의 버스를 통해 받게 된다. 처리속도는 비교적 느리지만 설계가 간단하기 때문에 범용 컴퓨터 구조라고 한다. 폰 노이만이 만든 에드박(EDV..

왜 RAM이라고 부르게 되었을까?
Study 2016. 9. 4. 23:15

지난 1주일간 좋은 과제를 받았다.이 과제를 수행하고 끝이 아니라 남들과 공유를 할 생각에 본 블로그에 남겨본다. RAM은 어떤 단어들의 약자이며,왜 RAM이라고 부르게 되었을까? RAM (Random Access Memory)의 약어이다. 나무위키를 참고하면 ‘Random Access란 무작위가 아닌 어디로든 똑같은 시간으로 접근 가능하다는 의미’라고 나타나 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주소 개념을 알아야 한다. 데이터가 메모리상 물리적 위치를 가지는데 RAM은 전원 공급이 끊기면 저장된 데이터가 소멸된다. 그러므로 가동중일 때 저장과 접근이 용이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했고 그래서 주소라는 개념을 통해 모든 데이터를 검색하지 않고 바로 찾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래서..

728x90
반응형